TNF alpha and inflammation


TNF 알파 & 염증

TNF 알파 개요

종양괴사인자 알파(TNF alpha)는 26 kDa 막관통 단백질로 TNF 슈퍼패밀리의 하나로, 17 kDa가 분비되어 세포 내 신호전달을 매개한다. 원래 1975년에 대식세포에서 내독소 유도 당단백질로 확인되었고, 나중에 여러 세포 유형(Carswell et al., 1975)에서 유비쿼터스로 발현되는 것으로 결정된 TNF 알파는 두 개의 막 결합 수용체 중 하나인 TNFR1 및 TNFR2에 결합함으로써 여러 중요한 염증 및 아포토시스 경로를 자극한다(Agarwall, 2003). TNF 알파 수준은 사람의 건강한 조건에서는 감지할 수 없지만, 조직과 혈청에서 TNF 알파 수준의 상승은 염증 조건에서 발견된다(Robak et al, 1998). TNF 알파는 1984년에 처음 복제되었으며, 이후 20년 동안 종양 형성을 유도하는 역할에 중요한 초점을 두고 생체 내 및 시험관 내 실험의 초점이 되었다(Burugu et al, 2017; Wang et al, 2016; Pennica et al, 2005).

TNF 알파 수용체 및 신호 전달 캐스케이드

TNF 알파는 두 수용체 모두에 대해 유사한 친화력을 나타내지만, 그들의 분포와 기능은 다르다. TNFR1은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발현되는 반면, TNFR2는 특정 T세포 하위 집합을 포함한 조혈계 세포뿐만 아니라 면역 신호 내피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주로 발견된다(Naudé et al., 2007; Aggarwal et al., 2003). TNF의 분비와 TNF 수용체의 처리의 조절은 TNF 변환 효소 또는 TACE라고 불리는 효소에 의해 매개된다. 이 효소는 세포 특이적 수준에서 TNF 알파 및 수용체의 항염증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Black et al., 1997).

TNFR1의 세포질 부분은 카스파제 캐스케이드를 통해 다운스트림 신호를 시작하는 데스 도메인을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TNFR2는 사망 도메인이 없고 세포막에서 TNF-수용체 관련 인자 1(TRAF1) 또는 TRAF2에 직접 결합한다(Nagata et al., 1995). TNFR1과 TNFR2 모두 NF-Kappa Beta 및 마이토젠 관련 단백질 키네이스(MAPK)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염증 경로에 기여한다(Ledgerwood et al., 1999).

세포 특이적 발현 및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TNFR1과 TNFR2의 뚜렷한 특성은 면역계 내에서 TNF 알파 상호작용의 복잡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염증 과정에서 TNF 알파와 수용체의 정확한 역할을 밝히고 표적 치료 개입을 개발하는 데 중요하다.

TNF 알파 신호 전달 경로

TNF 알파 및 아포토시스

TNFR1에 대한 리간드 결합은 카스파아제 캐스케이드를 통해 아포토시스를 유도한다. 특히, TNFR1의 세포질 죽음 영역은 외인성 또는 내재성 아포토시스(미토콘드리아 매개체)에 앞서 Fas-관련 죽음 영역(FAD) 및 caspase 8과 복합체를 형성하는 TNFR-관련 죽음 영역 단백질(TRADD)을 모집한다. 외인성 아포토시스는 활성 카스파아제 8에 의한 카스파아제 3의 분열 및 후속 활성화를 포함한다. 내인성 아포토시스는 친아포토시스 Bcl-2 단백질 Bid의 절단된 형태를 통해 촉진되며, Bax와 Bak의 미토콘드리아 막으로의 전위를 유도하여 시토크롬-c의 방출과 아포토솜의 형성을 유도한다. 외인성 및 내인성 아포토시스 경로는 모두 Caspase-3 활성화에서 정점을 이룬다(Kantari and Walczak, 2011; Wang et al, 1996). TNFR2는 죽음의 영역이 없기 때문에, 세포자살을 단독으로 유도하지는 않지만, TNFR1과 TNFR2 모두의 교차 대화에 대한 몇 가지 증거가 있다(Naudé et al, 2007).

TNF 알파 및 염증 경로

TNFR1 및 -2의 결합은 또한 염증 경로 활성화를 유도한다. TRADD와 TRAF2 및 수용체 상호작용 단백질(RIP1)의 결합은 하류 IKK-복합체 활성화, IKappa Beta 인산화 및 분해, 핵 치환 및 NF-Kappa Beta 활성화를 유도하는 NF-Kappa Beta 소단위의 방출을 유도한다. 마찬가지로 TRADD 매개 TRAF2의 모집은 c-Jun N-말단 키네이스(JNK) 및 p38을 포함한 MAPK 경로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는 전사 인자 AP-1의 활성화를 초래한다(Blonska et al, 2005; Devin et al. 2001). 또한 TNF 알파 유도 NF-Kappa Beta 활성화에서 명백한 염증 경로와 아포토시스 경로 사이에 교차 대화가 존재하며, 이는 cFLIP 수준을 상향조절함으로써 아포토시스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카스파제 8 활성화를 억제한다(Michau et al, 2001).

염증성 질환과 암의 TNF 알파

중요한 것은 급성 염증은 치료적이고 예방적인 자연 방어이다; 그러나 만성 염증은 해롭고 많은 병리학적 조건을 유발한다. TNF 알파는 내독소 유도 반응의 중요한 매개체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장균과 tnfr1-/-쥐가 지방다당류와 황색포도상구균에 내성을 갖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Pfeffer et al, 1993; Beutler et al, 1985). TNF 알파의 염증 효과는 주로 NF-카파 베타를 통해 매개된다. 만성 염증은 종양 발생의 전조 및 선행 위험 인자로 분류되며, 종양 미세 환경에서 염증 신호 전달은 종양 진행 및 저항을 촉진한다(Balkwill et al, 2005; Karin et al, 2005).또한 TNF 알파는 종양의 시작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ggarwal et al, 2002; Sungamuma et al, 1999; Deigel et al, 1989). 종양 발달을 촉진하는 TNF 알파에 의해 사용되는 메커니즘 중 하나는 활성산소종(ROS)과 활성질소종(RNS)의 생성이며, 이는 다시 DNA 손상을 초래한다(Woo et al, 2000). 또한, TNF 알파는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와 같은 여러 혈관생성인자를 상향조절하여 종양세포의 혈관형성을 유도한다(Jing et al, 2011). 또한, TNF 알파는 상피 종양 세포의 운동성을 촉진한다(Rosen et al, 1991). 그러나 발암에서 TNF 알파의 역할은 위에서 설명한 신호 전달 반응의 범위로 인해 복잡하며, 이는 효과적으로 4개의 상이한 경로, 즉 사망 도메인 유도 친아포토시스 경로, 항아포토시스 경로, 세포자살-1(cIAP1)의 E3 유비퀴틴 리게이스 세포 억제제와의 TRAF2 연관성, MAPK 매개 AP-1 활성화, RIP1 유도 NF-카파 베타(Chen and Goeddel, 2002)에 의해 촉진되었다. 현재 합의는 TNF 알파 종양 미세 환경 농도와 세포 특이적 발현 증가 부위를 회피한다(Ohri et al, 2010).

 

표 1. 다양한 염증 조건에서 TNF 알파의 관여에 대한 개요.

염증성 질환 TNF 알파의 역할

류마티스 관절염

TNF 알파는 관절 염증과 파괴의 핵심 동인이다. 활막염증, 연골저하, 뼈침식을 촉진함

염증성 장질환

TNF 알파는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염, 점막 손상의 원인이 되고 염증성 캐스케이드를 영구화합니다

건선

TNF 알파는 건선에서 보이는 면역 조절 장애와 비정상적인 피부 세포 증식에 관여한다. 각질세포 활성화, 혈관신생, 피부 염증세포 모집 촉진

건선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에서 볼 수 있는 관절 염증과 구조적 손상에 TNF 알파가 관여한다. 활막염증, 연골저하, 뼈침식을 유발합니다

비감염성 포도막염

TNF 알파 수치의 증가는 유두염 환자의 수분 유머와 눈 조직에서 종종 감지되며, 눈 내 염증 세포의 모집과 활성화에 기여한다.

TNF 알파 표적화의 치료 가능성

TNF 알파는 암에 대한 주요 치료 표적을 제공한다. 현재까지 TNF 알파 발현 억제제(Majumdar et al, 2002), TNF 알파를 결합하고 중화시키는 TNF 알파 항체(예: infliximab)를 포함하여 TNF 알파를 표적화하고 억제하는 여러 약물이 개발되었지만, 이 중 일부는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eystone et al, 2004) 및 주로 NF-카파 베타를 표적으로 하는 TNF 알파 신호 전달 억제제(Aggarwal et al, 2006). 다른 사이토카인 중에서도 TNF 알파를 표적으로 하는 종양 조절의 여러 방법에는 수용 T세포 치료법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항원 제시를 유도하기 위해 환자의 수지상 세포를 TNF 알파로 자극한다(Yee et al, 2002). 유사한 원리가 임상시험에서 어느 정도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된 수지상 세포 표적 암 백신의 개발에 적용되었다(Ridgway, 2003). 전반적으로 사이토카인, 특히 세포 사멸과 세포 생존 신호 전달의 상반된 역할을 하는 TNF 알파를 표적으로 하는 것은 암 치료 및 염증성 질환 치료와 관련하여 큰 관심과 잠재력이 있는 분야이다.

그림 1: TNFa 신호 전달 경로. TNFa는 막 결합 수용체 TNFR1 또는 TNFR2에 결합하여 다운스트림 아포토시스 및 염증 신호 전달로 이어진다. TNFR1의 활성화는 TRADD, FADD 및 caspase-8을 포함하는 사망 유도 신호 전달 복합체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 복합체의 형성은 내인성 또는 외인성 경로에 의한 아포토시스의 유도로 이어지며, 둘 다 카스파아제-3의 분열에서 정점을 이룬다. 또한 TNFR1 또는 TNFR2 활성화에 의해 염증 반응 경로가 유도될 수 있으며, TNFR2는 어댑터 단백질 TRAF2를 통해 신호를 보내 RIP1, NIK 또는 MEK를 활성화하여 MAPK 및 NF-kB 활성화를 초래한다.

표 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TNF 알파 억제제 및 일반적인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개요

TNF 알파 억제제 행동 메커니즘

Infliximab (Remicade®)

수용성 및 막관통 TNF 알파에 결합하여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노클로널 항체. TNF 알파 발현 세포의 세포자살을 촉진하고 염증을 감소시킨다.

Etanercept (Enbrel®)

TNF 수용체 2(TNFR2)의 세포외 도메인과 인간 IgG1의 Fc 부분으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 TNF 알파에 결합하여 세포 표면 TNF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끼 수용체 역할을 한다

Adalimumab (Humira®)

특이적으로 TNF 알파를 표적으로 하는 모노클로널 항체. 수용성 및 막관통 TNF 알파에 결합하여 TNF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억제하고 염증 반응을 조절한다

Certolizumab Pegol (Cimzia®)

TNF 알파에 대한 인간화된 단일 클론 항체의 페닐화된 Fab 조각. 수용성 TNF 알파에 결합하여 TNF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염증을 감소시킨다

Golimumab (Simponi®we)

가용성 및 막 투과성 TNF 알파를 선택적으로 표적화하는 완전 인간 모노클로널 항체. TNF 알파가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고 염증을 감소시킨다

참고 문헌

  • Aggarwal BB, Shishodia S, Ashikawa K, Bharti AC.The role of TNF and its family members in inflammation and cancer: lessons from gene deletion. Curr Drug Targets Inflamm Allergy. 2002. 1(4):327-41.
  • Aggarwal BB, Shishodia S, Takada Y, Jackson-Bernitsas D, Ahn KS, Sethi G, Ichikawa H. TNF blockade: an inflammatory issue. Ernst Schering Res Found Workshop. 2006;(56):161-86.
  • Aggarwal BB. Signalling pathways of the TNF superfamily: a double-edged sword. Nat Rev Immunol. 2003. 3(9):745-56.
    Balkwill F, Charles KA, Mantovani A. Smoldering and polarized inflammation in the initiation and promotion of malignant disease. Cancer Cell. 2005. 7(3):211-7.
  • Beutler BA, Milsark IW, Cerami A. Cachectin/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metabolic fate in vivo. J Immunol. 1985. 135(6):3972-7.
  • Black RA, Rauch CT, Kozlosky CJ, Peschon JJ, Slack JL, Wolfson MF, Castner BJ, Stocking KL, Reddy P, Srinivasan S, Nelson N, Boiani N, Schooley KA, Gerhart M, Davis R, Fitzner JN, Johnson RS, Paxton RJ, March CJ, Cerretti DP. A metalloproteinase disintegrin that releases tumour-necrosis factor-alpha from cells. Nature. 1997. 385(6618):729-33.
  • Blonska M, Shambharkar PB, Kobayashi M, Zhang D, Sakurai H, Su B, Lin X. TAK1 is recruited to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receptor 1 complex in a receptor-interacting protein (RIP)-dependent manner and cooperates with MEKK3 leading to NF-kappaB activation. J Biol Chem. 2005. 280(52):43056-63.
  • Burugu S, Dancsok AR, Nielsen TO. Emerging targets in cancer immunotherapy. Semin Cancer Biol. 2017 10.1016/j.semcancer.2017.10.001.
  • Carswell EA, Old LJ, Kassel RL, Green S, Fiore N, Williamson B. An endotoxin-induced serum factor that causes necrosis of tumors. Proc Natl Acad Sci U S A. 1975. 72(9):3666-70.
  • Chen G, Goeddel DV. TNF-R1 signaling: a beautiful pathway. Science. 2002. 296(5573):1634-5.
  • Devin A, Lin Y, Yamaoka S, Li Z, Karin M, Liu Zg. The alpha and beta subunits of IkappaB kinase (IKK) mediate TRAF2-dependent IKK recruitment to tumor necrosis factor (TNF) receptor 1 in response to TNF. Mol Cell Biol. 2001. 21(12):3986-94.
  • Digel W, Stefanic M, Schöniger W, Buck C, Raghavachar A, Frickhofen N, Heimpel H, Porzsolt F. Tumor necrosis factor induces proliferation of neoplastic B cells from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Blood. 1989. 73(5):1242-6.
  • Jing Y, Ma N, Fan T, Wang C, Bu X, Jiang G, Li R, Gao L, Li D, Wu M, Wei L.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motes tumor growth by inducing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ancer Invest. 2011. 7:485-93.
  • Kantari C, Walczak H. Caspase-8 and bid: caught in the act between death receptors and mitochondria. Biochim Biophys Acta. 2011. 1813(4):558-63.
  • Karin M, Greten FR. NF-kappaB: linking inflammation and immunity to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Nat Rev Immunol. 2005. 5(10):749-59.
  • Keystone EC, Kavanaugh AF, Sharp JT, Tannenbaum H, Hua Y, Teoh LS, Fischkoff SA, Chartash EK. Radiographic, clinical, and functional outcomes of treatment with adalimumab (a human anti-tumor necrosis factor monoclonal antibody) in patients with active rheumatoid arthritis receiving concomitant methotrexate therapy: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52-week trial. Arthritis Rheum. 2004. 50(5):1400-11.
  • Ledgerwood EC, Pober JS, Bradley JR. Recent advances in the molecular basis of TNF signal transduction. Lab Invest. 1999. 79(9):1041-50.
  • Majumdar S, Lamothe B, Aggarwal BB. Thalidomide suppresses NF-kappa B activation induced by TNF and H2O2, but not that activated by ceramide, lipopolysaccharides, or phorbol ester. J Immunol. 2002. 168(6):2644-51.
  • Micheau O, Lens S, Gaide O, Alevizopoulos K, Tschopp J. NF-kappaB signals induce the expression of c-FLIP. Mol Cell Biol. 2001. 21(16):5299-305.
  • Nagata S, Golstein P. The Fas death factor. Science. 1995. 267(5203):1449-56.
  • Naudé PJ, den Boer JA, Luiten PG, Eisel UL.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cross-talk. FEBS J. 2011. 278(6):888-98.
  • Ohri CM, Shikotra A, Green RH, Waller DA, Bradding P. Tumour necrosis factor-alpha expression in tumour islets confers a survival advantage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BMC Cancer. 2010. 10:323.
  • Pennica D, Hayflick JS, Bringman TS, Palladino MA, Goeddel DV. Cloning and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of the cDNA for murine tumor necrosis factor. Proc Natl Acad Sci U S A. 1985. 82(18):6060-4.
  • Pfeffer K, Matsuyama T, Kündig TM, Wakeham A, Kishihara K, Shahinian A, Wiegmann K, Ohashi PS, Krönke M, Mak TW. Mice deficient for the 55 kd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are resistant to endotoxic shock, yet succumb to L. monocytogenes infection. Cell. 1993. 73(3):457-67.
  • Ridgway D. The first 1000 dendritic cell vaccines. Cancer Invest. 2003;21(6):873-86.
  • Robak T, Gladalska A, Stepień H. The tumour necrosis factor family of receptors/ligands in the serum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Eur Cytokine Netw. 1998. 9(2):145-54.
  • Rosen EM, Goldberg ID, Liu D, Setter E, Donovan MA, Bhargava M, Reiss M, Kacinski BM. Tumor necrosis factor stimulates epithelial tumor cell motility. Cancer Res. 1991. 51(19):5315-21.
  • Suganuma M, Okabe S, Marino MW, Sakai A, Sueoka E, Fujiki H. Essential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in tumor promotion as revealed by TNF-alpha-deficient mice. Cancer Res. 1999. 59(18):4516-8.
  • Wang K, Yin XM, Chao DT, Milliman CL, Korsmeyer SJ. BID: a novel BH3 domain-only death agonist. Genes Dev. 1996. 10(22):2859-69.
  • Wang P, Wang J, Yu M, Li Z. Tumor Necrosis Factor-α T-857C (rs1799724) Polymorphism and Risk of Cancers: A Meta-Analysis. Dis Markers. 2016; 2016:4580323. doi: 10.1155/2016/4580323. Epub 2016 Dec 27.
  • Woo CH, Eom YW, Yoo MH, You HJ, Han HJ, Song WK, Yoo YJ, Chun JS, Kim JH. Tumor necrosis factor-alpha generates reactive oxygen species via a cytosolic phospholipase A2-linked cascade. J Biol Chem. 2000. 275(41):32357-62.
  • Yee C, Thompson JA, Byrd D, Riddell SR, Roche P, Celis E, Greenberg PD. Adoptive T cell therapy using antigen-specific CD8+ T cell clone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etastatic melanoma: in vivo persistence, migration, and antitumor effect of transferred T cells. Proc Natl Acad Sci U S A. 2002. 99(25):16168-73.

ELISA 키트

Written by Rithika Suresh

Rithika Suresh completed her undergraduate degree in Biotechnology in Anna University before completing her masters in Biotechnology at University College Dublin.

추가 리소스



12th Jun 2023 Rithika Suresh

Recent Posts